말의 분류
본문 바로가기
승마이야기

말의 분류

by 윤뚜루우 2022. 2. 4.

말의 분류

생물학적 분류

생물학적 분류체계에 따르면 말의 계통은

척생동물문(門) 포유강(鋼) 기제목(目)

말과(科) 말속(屬) 으로 분류되는데,

기제목 중에서는 코뿔소나 물소가 있고

말과에는 당나귀와 얼룩말이 포함된다.

 

말과 동물은 셋째 발가락만 발달해 있고

다른 발굽들은 모두 퇴화되어 사라졌다.

그러므로 발굽은 각 다리에 1개뿐이다.

 

당나귀는 귀가 길고 털색이 회백색이며

등에 '만선'이라는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야생나귀와 가축나귀로 구분하는데, 

체고는 100~150cm로서 전지에만 

밤눈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체력이 강하여 노역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얼룩말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으며 갈기는 거칠고 곧다.

 

성질이 급하고 사나워 사람에 의해

순치되기가 어렵다.

 

말의 분류

말과 동물 간의 잡종

( 1 ) 노새

 

암말과 수탕나귀가 교배하여

생산된 잡종이다.

노새는 번식능력이 없어서

새끼를 낳지 못한다.

체격은 말과 당나귀의 중간 형태이며,

지구력이 강해 역용으로 사용된다.


( 2 ) 버새

 

수말과 암탕나귀가 교배하여

생산된 잡종이다.

역시 번식능력이 없으며

노새와 비슷한 외모와 체격이나

체력이 약하고 성질이 고약해

승용이나 역용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 3 ) 제브로이드

 

말과 얼룩말이 교배하여 생산된 잡종이다.

번식능력은 없으며 얼룩무늬를 가지고 있다.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아프리카에서는 사람에 의해 순치되어 

역용 등으로 활용된다.

 

말의 분류

서식환경에 의한 분류

 

말의 조상이 어떤 환경에서 생활하며

진화되었는가에 따라 말의 외모와 

성격에 차이가 많다.

 

동양종(열혈종)과 서양종(냉혈종) 그리고

교잡종(온혈종)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열혈종(hot blood), 냉혈종(cold blood)의

분류는 말 체내에 흐르는 

혈액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식환경의 기후에서 비롯된 말의 외모와

성격에 따른 임의적 분류다.


1 ) 동양종(열혈종,hot blood)

 

아랍 등 초원지대에서 풍부한 영양을 섭취하고 고온의 기후에서 진화되었으며,체내에 열을 쉽게 발산하기 위해 피부는 얇고털은 짧고, 피아의 혈관이 외부로 돌출되어 보인다.목과 다리는 길고 머리는 작으며,체형이 날씬하고 키는 150cm 이상이다.사지의 움직임이 빠르고 날렵하여 경주용, 승용 등으로 많이 활용된다.아랍, 앵글로아랍, 바브, 더러브렛 등 해당된다.열혈종은 냉혈종에 비해 단위용적당 혈액 중 적혈구 숫자가 많아 산소 운반능력이 탁월하여 주행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2 ) 서양종(냉혈종, cold blood)

 

북유럽의 춥고 환경이 열악한 산림지역에서서식하던 말로서 체온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피부가 두껍고 거칠며 털이 길다.몸은 지방질이 많아 비대하고 돋등마루가 완만하며,머리가 크고, 체구에 비해 목과 다리는 짧다.발굽은 크고 넓으며 동작은 느리고 둔하다.주로 노역용, 마차용 등으로 많이 활용된다.페르슈롱, 샤이어 같은 중종마들이 해당되며,일부 품종의 조랑말들도 냉혈종에 해당된다.냉혈종은 열혈종에 비해 성격이 느긋하고 동작도 둔하며 열혈종에 비해 단위용적당 혈액 중 적혈구 숫자가 적어 산소운반능력이 저조하여 주행속도가 비교적 느리다.

 


3 ) 정온종(온혈종, wram blood)

 

열혈종(hot blood)과 냉혈종(cold blood)의 교잡종으로

유럽의 벨기에 웜블러드, 하노베리안, 홀스테이너, 올덴브르크

등 많은 말 품종이 온혈종이며, 그 외에도 승용마로 활용되는

수많은 품종이 온혈종에 해당한다. 

보통 냉혈종의 마차용 말과 더러브렛을 교잡하여 대부분의

온혈종 말이 만들어진다.

온혈종은 성격이 온순하고 체형이 튼튼하며

지구력이 좋아 승용마로 많이 활용된다.

 

말의 분류

형태학적 분류

말은 체격과 체중 등 외모에 따라 경종마, 중간종마, 중종마,

조랑말 등으로 분류된다.

 

1 ) 경종마

 

체격이 보통이고 체폭이 좁아 날렵한 외모를 가진 말로,

체중이 약 400~500kg 정도의 말이다.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등 온대지방에서 주로 서식하던 말이며,

열혈종 또는 온혈종의 말이다. 

피부가 얇고 털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더러브렛, 아랍, 앵글로아랍 및 스탠더드브렛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 중간종마

 

경종마와 중종마의 중간 형태의 크기와 외모이며,

체중이 약 600~700kg 정도의 온혈종 말이다.

앵글로노르만, 트롯터 및 팔로미노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 중종마

 

체격이 크고 체폭이 넓어 우람한 외모의 말로,

체중이 700~1000kg 정도다. 

북유럽 등의 산림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던 말이며, 

냉혈종의 말이다. 피부가 두껍고 털이 길다.

페르슈롱, 샤이어, 클라이즈데일 등의 역용마가 이에 해당한다.


4 ) 조랑말

 

몸집이 작고 왜소하며 체중이 200~400kg 정도, 

체고는 148cm 이하의 말이다.

주로 북유럽과 몽골 등지에서 서식하던 말로,

냉혈종이다, 셰틀랜드 포니, 팔라벨라, 하프링거, 몽고마,

제주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체고 대비 체장의 길이, 즉 체형에 따라 분류 하는 방법도 있는데,

정방형, 장방형, 고방형 등으로 분류된다.

정방형이란 체고와 체장의 길이가 거의 비슷하여

1cm 이내인 경우를 말하고, 장방형이란 체고에 비해 체장이 1cm

이상 긴 것을 말한다. 

또한 고방형이란 체장보다 체고가 1cm 이상 긴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정방형 말과 고방형 말은

동양종 말에 해당하며, 장방형은 서양종 말에 해당한다.

 

'승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마하기로 마음먹었다 ( part2 )  (0) 2022.02.10
나는 승마를 하기로 마음먹었다 ( part1 )  (0) 2022.02.07
우리나라 말의 역사  (0) 2022.01.31
말과 인간  (0) 2022.01.25
말의 진화  (0) 2022.01.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