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하수10 말과 인간 말의 순치와 활용 말은 태생적으로 남을 공격할 줄 모른다. 사자같이 강력한 턱뼈에 날카로운 이빨이나 발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다고 황소 같이 든든한 두 뿔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다만 남이 먼저 공격해올 때, 모조건 달아나는 것이 최선의 ㄱ수단이며 공격자가 후미를 덮쳐 생명이 위태로운 순간 뒷발 차기로 방어하는 것이 최선이 공격이다. 이와 같이 온순한 성격을 가진 대부분의 초식동물들은 독립적으로 자기 방어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군집을 형성하여 생활한다. 초원에서 풀을 뜯을 때도 모여 있고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 장거리 이동을 할 때도 떼를 지어 대이동을 한다. 말과 인류 역사의 시작 군집생활의 습성을 가진 만큼 말들끼리의 친화성과 유대감은 지나칠 정도로 강하다. 한 방 목장에 평소 .. 2022. 1. 25. 말의 진화 말의 진화 단계 진화론자들은 말의 골격구조와 유사한 화석이 발견된 지질연대를 조사하여 말의 조상이 어느 시기에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연구했다. 말과 유사한 화석은 신생대의 에오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것을 말의 최초 선조로 보고 있으며 '에오히푸스'라고 한다. 3000만 년 전 지층에서는 앞발가락이 3개인 메소히푸스, 1,500~1000만 년 전 지층에서는 3개 발가락 중 양쪽 발가락이 조금씩 짧아진 메릭히푸스가 발견되었다. 현재의 말과 같이 양쪽 발가락이 퇴화되고 가운뎃 발가락이 1개뿐인 말의 화석은 50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플리오히푸스다. 현대 말과 가장 모습이 비슷한 말의 화석은 100만 년 전의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이것이 현대 말의 직접적인 조상 '에쿠스'다. 에오히푸스 -약 5,00.. 2022. 1. 25. 마장마술의 응용 운동 방향전환 방향전환 시 말은 기승자의 지시에 따라 저항 없이 보조, 율동, 변경 동작을 취해야 한다. 이때, 말이 기승자가 의도한 선을 이탈하여 비스듬히 가거나 밀리지 않도록 기승자는 종아리와 주먹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직각으로 방향 전환 시 말의 속도에 따라 변호나 방법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우각 통과시 말이 수축 또는 보통 보법일 경우 직경 약 6m의 1/4을, 중간이나 신장 보법에서는 직경 약 10m의 원을 1/4을 그려야 정확하고 부드러운 방향 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왕복 방향 전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승자가 방향을 전환하기 직전에 말이 똑바로 직선으로 갈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좌우 하프패스를 이행할 때 운동과목에 규정되어 있는 중앙선까지 좌측 벤딩을 .. 2022. 1. 24. 마장마술의 기본운동 정지(halt) 정지 시 말은 주의 깊게 기승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후구가 깊게 들어오면서 움직이지 않는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목과 정수리는 높게 위치해야 하며, 머리는 수직에서 약간 전방을 향해 유지되어야 한다. 이때 기승자의 주먹과 기좌의 접촉이 자연스러워야 하며, 말은 기승자의 부조를 의해 즉각적으로 운동을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기승자의 주먹 사용만으로 정지는 실현될 수 없다. 따라서 기좌를 부드럽게 감싸 안은 상태에서 허리의 움직임을 멈춤과 동시에 주먹을 사용해야 정확한 정지를 실현할 수 있다. 평보(walk) 평보는 말의 네 다리가 한 발씩 순차적으로 착지하는 4절 보법으로, 4절의 발굽 소리가 명확히 구별되지 않거나 균형을 잃었을 때는 4절 보법이라도 정확한 평보라고 구분 지.. 2022. 1. 2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